이 글은 콜린 매컬라우(Colleen McCullough)의 "The First Man in Rome"에 있는 부록을 번역하면서 약간의 손을 본 것이다. 현재 매컬라우의 로마 삼부작("The First Man in Rome", "The Grass Crown", "The Fortune's Favorite")중 2권 "The Grass Crown"을 보고 있는데, 발음 때문에 애를 먹고 있어서 1권의 부록을 번역하기로 했다. 일단 여기에 번역한 것은 매컬라우의 삼부작 소설에 나오는 로마인 이름, 물건, 관직명 등의 발음법이다. 작가가 미국인이다보니 미식영어 발음도 병기한 것이 있다. 미식영어 발음도 병기했다. 일반명사의 뜻은 아직 추가하지 않았는데, 일단 뜻이 나타난 cognomen이라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새로운 창작을 하거나 글을 읽을 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일반명사의 뜻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추가하여 글을 올리도록 하겠다. (1997. 6)
고전 라틴어의 발음이 아직까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학자들간에 확정적인
규칙이 있다. 기도서에 사용한 라틴어(Liturgical Latin)와 중세의 라틴어(medieval
Latin)은 고전적 라틴어와는 발음이 어느 정도 달랐다. 고전 라틴어 발음규칙중
하나는 자음 v가 현재 영어의 w과 발음이 같다고 본다. 그래서 veritas는
weritas로 발음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규칙은 학자들간에도 그리 분명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편의상 무시하도록 한다. 이중모음 ae는 "쎄이(say)"에서의
발음이 아니라 "아이(eye)"의 발음이다. 이 규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영어에는 라틴어보다 많은 자음이 있다. 제일 관심이 많은 것이 j이다.
영어에서 수 세기 동안 이들 라틴어를 시작할 때에 자음 i를 j로 써왔다.
그래서 Julius는 Iulius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발음도 쥴리우쓰(Joo-lee-uss)가
아니라 율리우쓰(Yoo-lee-uss)이다. 그러나 j를 쓰도록 한다. 라틴어
g는 오직 하나의 발음만 갖고 있다. 즉 게인(gain), 겟(get), 기브(give),
간(gone), 건(gun)처럼 기역발음(guh)만 있다. 영어에서 있는 다른 g의
발음은 라틴어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 발음은 "진저(ginger)"에서의
발음과 같고 juh라고 하겠다.
한국말로 가장 가깝게 원음을 나타내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그래서
s는 "시옷"으로 표기하지 않고 "쌍시옷"으로 처리했다. 우리말로 표기하면
구분이 되지 않는 p, f, b, v, l, r 등은 입모양을 비슷하게 해주는 모음을
추가할까 생각해보기도 했으나, 발음은 같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면서 표기방법이
나뉘어 혼란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구분없이 표기하기로 했다.
또, 라틴어의 r은 되도록이면 표기하는 오래된 관습을 따랐고, 영어에서의 r은
음가를 표기하지 않는 요즘의 경향을 따라 표기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r의 음가가
없는 것이 아니니 유의하기 바란다. sk, sp, st 발음은 자연스러운 "쓰끄",
"쓰쁘", "쓰띠"로 적기로 하고 dr, tr의 발음은 "드르", "트르"로 적기로 하겠다.
"쥬르", "츄르"라는 발음법은 영어의 특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